본문 바로가기
소울에이지 이야기

3 / 소울에이지 (4.3~4.10) 거울 앞에 선 아이

by 캘리코 2020. 4. 14.

세 번째 소울에이지는 '거울 앞에 선 아이' 로

사람의 나이로 치면 3살에서 7살이 되기 전 쯤

자아를 인식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.

 

아기들은 거울을 보면서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만져보기도 하는데

이 때 인식되는 자기 모습을 아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  좋아한다고 한다.

자기애, 나르시시즘이 생기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.

남들이 자기를 예뻐하는 것도 당연하고 본인도 본인을 무척 좋아하는 때이다.

 

그렇다면 이 소울 에이지에 속하는 사람들의 캐릭터는 어떨까?

이들은 세상이 자기를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한다.

스스로 뚜렷하게 자기 존재감을 의식하고 주변 사람들도 본인처럼 생각해주길 바란다.

집안의 막내를 생각하면 좀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.

외모가 예쁘든 아니든 막내는 일단 막내라서 귀여움을 독차지한다.

부모의 본능적인 내리사랑은 말할 것도 없고 할아버지, 할머니, 고모, 삼촌, 이모...

나이 차이 나는 형제 자매나 사촌들도 명절에 모이면 그 아이부터 찾는다.

집 안의 아기란 원래 그런 존재니까.

여기에 이유는 없는 것이다.

즉, 막내는 아무 것도 안 해도 존재 자체로 그 집안의 스타라는 거.

거기다 늦둥이라면 거의 집 안의 아이돌급 아닐까?

아무튼 얘는 공부를 잘 해서도 아니고 돈을 벌어와서도 아니고 부모 말을 잘 들어서도 아닌데

그냥 어려서 예쁘다는 이유로 집안의 중심이 된다.

그 나이에 느끼는 자연스러운 관심을 이 소울 에이지에 속하는 사람들은 그대로 원하게 된다.

그래서 늘 칭찬과 관심을 얻고 싶어하고 혼자 있는 외로움을 싫어한다.

 

출처 : 핑크퐁 육아 웹툰, <오늘은 육아데이> https://www.facebook.com/pinkfong.ko/posts/2039237532798656/

 

그런데 어느 날

미국에서 삼촌과 숙모가 오셨는데 자기보다 더 어린 아기가 같이 온 것이다.

나이도 더 어린데다 외국에서 온 손님 버프까지 더해져 온 집안 사람들이 그 애 보기에 바쁘다.

다른 사람들이 그런 것도 서운한데 심지어 우리 엄마 아빠까지도

나 보다는 그 애 먹을 걸 더 챙겨주고 하나부터 열까지 신경 써주는 걸 보니 서럽기가 이를데 없다.

처음에는 자기도 동생이 신기하고 궁금해서 호감이 있는 것도 같았지만

점점 같은 자리에 있는 게 싫어지고 얼른 돌아갔으면 좋겠다.

그러다 눈치 없는 고모가

"우리 묭묭이는 여기서 많이 먹으니까 이 까까는 동생 주자~" 

하면서 딱히 먹고 싶진 않았지만 놔두면 먹어볼까 했던 과자를 그 애한테 주면

갑자기 설움이 복받쳐 오르면서 뿌앵~~~ 하고 울어서 어른들 잠시 당황.

어른들은 아무 생각없이 말할 것이다. 

동생 왔다고 샘내는 구나, 과자 주기 싫었구나, 막내라서 어리광이 심하구나...

하지만

늦둥이 막내로만 살아봐서 관심 안 받는 삶에 대해서는 모르는데 어쩌겠는가

 

4월 3일~4월 10일 생일인 사람의 소울 에이지는 이렇게

'타인의 관심과 칭찬을 얻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신인스타' 캐릭터로 볼 수 있다.

 

 

* 소울 에이지는 헬로우 봇 어플 '연희동 한쌤' 상담 챗봇에서 무료로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.

 앱 스토어나 플레이 스토어에서 '헬로우 봇' 어플 다운 후 이용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소울에이지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 / 소울에이지 (3.25~4.2) ①  (0) 2020.03.27
1 / 소울에이지 (3.19~3.24)  (0) 2020.03.20